닫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RGRATION

감각, 인식의 문을 여는 열쇠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학회지 검색

HOME / 저널 / 학회지 검색

pISSN: 1738-0405 / eISSN: 2384-115X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2021)
pp.39~53

DOI : 10.18064/JKASI.2021.19.1.39

-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연하재활치료 : 체계적 고찰 -

전주영

(연세로이재활의학과 의원 소아작업치료실 작업치료사)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목적 :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에 따른 연하장애를 증상별로 세분화하고 증상 에 따른 치료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을 통해 검색하였다. PRISMA, PICOS를 이용하여 연구를 선정하고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한 문헌은 총 13개로 연구의 질적수 준, 질환군, 평가도구, 중재방법, 중재 후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군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6편(46.15%),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는 7편(53.85%)으로 나타났다. 섭식 장애 중재를 받은 아동의 연령대는 ASD는 2-8세, CP는 12개월-18세까지로 확인하였다. 평가영역에서 ASD는 행동평가, CP는 구강과 삼킴기능 평가영역이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에서 ASD는 행동수정이 가 장 많았고, CP는 구강감각운동, 음식질감조절, 전기자극치료가 각각 동일한 빈도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 났다. 중재 후 치료효과에서는 모두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군, 적용되는 평가도구, 중재방법을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 다. 본 연구가 질환에 따른 평가와 중재 선택 시 임상가들이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효율적인 섭식장애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 개발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ysphagia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 A Systemic Review

Jeon, Joo Young

Park, Hae Yea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dysphagia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s. Methods : The articles evaluat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PubMed, Medline Complete, and CINAHL databases and subsequently reviewed using the PRISMA flow chart and PICOS approach. A total of 13 papers were analyzed for study quality, disease groups, evaluation tools, interventions, and post-intervention effects. Results : Of the reviewed papers, six (46.15%) relat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seven (53.85%) to cerebral palsy (CP) with age ranges of between 2 and 8 years for the ASD studies and between 12 months and 18 years for CP. In evaluating the types of feeding disorder involved, the ASD group exhibited predominantly behavioral conditions while the CP subjects had a larger number of functional oral and swallowing issues. In terms of interventions, behavior modifications were used most frequently with ASD while oral-sensory motor, texture modifications, and electrical stimulation were applied at the same frequency with children with CP. All interventions were found to be effective. Conclusion : In this study, research into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s was reviewed according to condition, evaluation tool, and method of interven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review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tocol that will allow clinicians to efficiently apply condition-specific interventions for eating disorders without resorting to trial and error.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