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RGRATION

감각, 인식의 문을 여는 열쇠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학회지 검색

HOME / 저널 / 학회지 검색

pISSN: 1738-0405 / eISSN: 2384-115X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2021)
pp.69~82

DOI : 10.18064/JKASI.2021.19.1.69

- 국내의 발달성협응장애(DCD)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평가와 중재접근 중심으로 -

김민주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학술연구교수)

최정실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교수)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성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DCD의 선별이나 중재에 관한 연구결과를 고찰하여 향후 관련 종사자들이 연구를 설계하거나 중재결과 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여 199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논문들 중 발 달성협응장애와 관련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국내의 연구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발달성협응장애’, ‘발달협응’, ‘발달적 협응’으로 선정하였다. 검색원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한국학술정보, 구글학술검색을 사용하였다. 검색된 4,878개의 논문 중 중복되어 검색된 논문과 배제기준에 해당되는 논문을 제외한 총 17편의 논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선정된 논문은 DCD연구 중 평가와 중재접근을 분석하기 위하여 Wilson(2005)이 제시한 개념적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과 : 선정된 연구의 질적수준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간의 비무작위 연구인 level Ⅱ가 70%를 차지하였다. 연구설계 시대상 아동의 DCD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test(MABC)와 MABC Second Edition(MABC-2)(72%)가 운동발달 평가도구로 주로 사용 되었다. 중재연구 중 역동체계접근을 적용한 논문은 47%으로 가장 높았으며, 정상발달기술접근의 논문 과 인지적 신경과학을 적용한 논문은 각각 18%이었고, 신경발달이론을 적용한 논문은 11%이었다. 정상 발달기술접근과 일반적 능력접근을 병행한 논문은 6%로 가장 낮은 사용을 보였다. 이들 논문은 주로 DCD아동들의 운동특성이나 운동(체육)프로그램의 중재효과에 관한 것이었다. 결론 : 국내에서 진행된 DCD관련 연구는 대부분 DCD의 움직임 특성을 설명하거나 운동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설명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향후 DCD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평가도구들의 타당 성에 관한 연구와 재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중재접근의 효과를 입증하여 DCD 아동의 운동 협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A Systematic Review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s in South Korea : Evaluation and Intervention

Kim, Min Joo

Choi, Jeong-Sil

Objective : This recent work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abou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in South Korea. The previous research of screening DCD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s were reviewed. Methods : Peer-reviewed papers relating to DCD and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20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search term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evelopment coordination,”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were used to identify previous Korean research in this area from three representation database,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Google Scholar. We found a total of 4,878 articles identified through the three search engines and selected seventeen articles for analysis after removing those that corresponded to the overlapping or exclusion criteria. We adopted “the conceptual model” to analyze the selected articles about DCD assessment and intervention. Results : We found that twelve of the 17 studies showed the qualitative level of Level 2 using non-randomized approach between the two groups.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nd its second edi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in assessing children for DCD. Among the intervention studies, the eight articles (47%) were adopted a dynamic systems approach; a normative functional skill framework and cognitive neuroscience were each used in 18% of the pieces; and 11% of the articles were applied neurodevelopmental theory. Only one article was used a combination approach of normative functional skill and general abilities. These papers were mainly focused on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CD and the intervention effect of exercise or sports programs. Conclusion : Most of the reviewed studies investigate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DCD or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particular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it would be useful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ifferent assessment tools and to establish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interventions used in rehabilitation for better motor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CD.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