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RGRATION

감각, 인식의 문을 여는 열쇠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학회지 검색

HOME / 저널 / 학회지 검색

pISSN: 1738-0405 / eISSN: 2384-115X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20권 제2호 (2022)
pp.36~45

DOI : 10.18064/JKASI.2022.20.2.36

-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판별타당도 연구 -

김경미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를 사용하여 일반발달 아동과 감각처리문제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을 비교하여 판별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3-5세의 일반발달 아동 68명과 감각처리문제 아동 83명의 보호자로 총 151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아동의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연구목적, 동의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일반적 특성 문항을 포함한 설문지를 발송 또는 전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아동 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의 판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성별을 공변량 으로 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일반발달 아동과 감각처리문제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는 공변량인 성별의 영향(F=6.663, p=.807, partial =η2.000)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군에서 감각처리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7.629, p=.000).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의 감각영역에 서 총점과 모든 감각 영역에서 감각처리문제 아동이 일반발달 아동보다 평균점수가 낮았으며, 고유감각 (p=.097) 영역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의 감각 요소에서 감각과민반응, 감각저반응, 그리고 감각구별 요소에서 감각처리문제 아동과 일반발달 아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0)가 있었으나 감각찾기 요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12). 결론 :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는 감각처리문제 아동을 선별할 수 있 는 판별타당도가 있는 도구로 제시할 수 있으며, 앞으로 임상 환경에서 감각처리의 문제를 선별하거나 분 석, 해석, 그리고 중재계획 시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Study of Discriminant Validity for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ensory Processing Disorder

Kim, Kyeong-Mi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discriminat validity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Children (SPS-C) for children with and without Sensory Processing Disorder (SPD). Method : The SPS-C was completed by parents of 151 Korean children including 68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trol group), 83 children with SPD (known group) in the age range 3–5 years, in South Korea. ANCOVA with sex as covariable was used to ident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typically development and SPD. Results : Sensory processing differences in sensory domains and sensory factors were detected and the gender differences were not effective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SP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sensory domain score and total score except proprioceptive processing in sensory domain. In sensory facto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verrsensitivity, underresponsivity, and discrimination, but sensory seeking was not significant. SPS-C was a valid assessment tool to identify or screen of SPD in Korea. Conclusion :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for the standardization study of SPS-C were presented,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to screen the children with sensory processing problems was presented as a verified evaluation tool. SPS-C will be helpful in screen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characteristics of sensory processing, and establishing an intervention plan.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