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RGRATION

감각, 인식의 문을 여는 열쇠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학회지 검색

HOME / 저널 / 학회지 검색

pISSN: 1738-0405 / eISSN: 2384-115X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21권 제1호 (2023)
pp.47~58

DOI : 10.18064/JKASI.2023.21.1.47

- 국내 아동작업치료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길영숙

(건양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유두한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영역에서 기관별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실태에 대하 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국내 아동작업치료사 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구성은 Lee, Hong과 Park(2018)와 Kim(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아동평가도구 내용에 맞추어 수정·보완하여 사용 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3주 동안 Google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연구 분석은 일반적 특성, 평가관련정보, 평가도구 사용현황, 지식수준 및 교육 참여 욕구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평가도구 현황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은 Excel을 통해 분석 하였다. 결과 : 기관별 사용하는 평가도구 수는 복지관이 11.1개로 가장 많았고 기관별 평가도구 사용 현황의 경우 대학병원이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를 재활병원은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의원, 센터, 복지관, 어린이집은 순서 간의 차이는 있으나 Sensory Profile과 임상관찰 사용빈도가 많았다. 평가도구에 대한 지식수준과 교육참여 욕구에 대한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30명(44.8%)이 교육을 이수하지 않았으며, 42명(62.7%)이 대체로 자신의 지식수준을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매뉴얼 기반에 평가도구 사용의 중요성 질문에 66명(98.6%)이 긍정적인 답변에 응하 였고, 66명(98.6%)이 평가도구 전문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영역 기관별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의 사용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관별 다양한 평가도구 도입 및 다양한 평가도구 교육 마련을 위한 기초 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s in Relation to the Type of Therapy Institution

Gil, Young-Suk

Yoo, Doo-Han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use of assessment tools by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with children in Korea.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67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with children in Korea. To investigate the use of evaluation tools by area, knowledge of the evaluation tools, and desire to participate in further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used in studies by Lee, Hong, and Park (2018) and Kim (2015)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child evaluation tools currently in usein institutions in Korea. For data collection, we distributed Google questionnaires to child occupational therapists for 3 weeks using convenience sampling. Excel was used to analyze the use of the evaluation tools according to institution. Technical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were used to ver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valuation-related information, status of evaluation tool use, knowledge levels relating to evaluation tools, and desir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 t-test was used for the evaluation tool status. Results : Welfare centers used the most evaluation tools, with an average of 11.1, followed by university hospitals, rehabilitation hospitals, clinics, and daycare cent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oice of tools used, hospital with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and the Wee-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being the most frequently applied. Centers, dayc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 the Sensory Profile test and clinical observation were also used often. Regarding the level of knowledge of evaluation tools and the desire to participate further in education, 30 (44.8%) of the respondents had not completed their education, and 42 (62.7%) rated their knowledge level as generally low. When asked about the importance of using a manual to guide them in their use of evaluation tools, 66 (98.6%) answered positively, and 66 (98.6%) answered that they needed specialized training in the use of evaluation tools. Conclusion :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use and status of evaluation tools as used by different institutions in Korea in the field of child occupational therapy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provide the basis for introducing existing evaluation tools and preparing new evaluation tools to be used in this field in Korea.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